본문 바로가기
정부정책

[K-UAM 그랜드 챌린지] 25년 상용을 위한 한국형 도심항공교통체계

by ollehola 2023. 2. 23.
반응형

정부에서 국정과제로 지정하고, 최근 신성장 4.0 계획에 '2025년 도심항공 모빌리티 상용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와 관련, 국토교통부에서는 2월 22일 한국형도심항공교통 실증사업 1단계 참여기업들과 컨소시엄, 기업별 구체적인 실증 시기와 실증에 사용되는 기체 등을 확정하고, 참여기업의 역할과 의무 규정 등의 내용을 포함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합니다. 

 

그랜드 챌린지

 

K-UAM 그랜드 챌린지란?

'25년 상용화 대비 UAM에 대해 한국형 안전기준을 마련하고자 통합운용 실증을 하는 것으로 총 2단계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 일정: 1단계('23.8~'24.12)는 개활지를 대상으로, 2단계('24.7~'25.6)는 수도권을 대상으로 진행

  - 항목: 기체 안전성, 운항/교통관리/버티포트 등 통합운용능력 확인, 이/착률 등 비행 단계별 소음측정 등

  - 추진체계: 국토교통부(주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주관), UAM 운항자, 제작자, 교통관리제공자, 버티포트 운영자

 

 

참여기관

이번 챌린지에는 통합운영 7개 컨소시엄과 단일분야 5개 컨소시엄이 참여했다고 합니다. 참고로, 우리나라가 가장 빠르게 도심 실증을 진행할 예정이라 외국의 우수한 기체들도 여기에 참가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UAM

 

- 통합운영 분야

 1. 대한항공, 인천국제공항공사 컨소시엄: 운항사, 교통관리사업자, 버티포트 운용시스템 국산화 개발 및 통합실증을 통한 검증 (기체: OPPAV)

 2. UAM조합컨소시엄: 항공,드론 분야 국내 중소기업으로 시뮬레이션 S/W 통합운영 실증(기체: Prosperity)

 3. 현대자동차,KT컨소시엄: UAM 운항 및 교통관리 서비스플랫폼, 버티포트 설계 최적화를 통해 도심형 버티포트 구축 기반 마련 등 통합 운영 실증(기체: OPPAV)

 4. K-UAM 드림팀: 자체 개발 교통관리 운용시스템과 'T' 모빌리티 연계 서비스 제공, 전 세계 최초 UAM용 5G 상공망 구축, 3차원 지리정보,도심기상예측 등 통합운영 실증(기체: S4)

 5. UAM 퓨처팀: MaaS 플랫폼 기반 고객 성향에 맞는 미래 모빌리티 3차원 여정 제공, 5G 통신을 중심으로한 지능형 교통관리, 승객용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등 통합운영 실증(기체: VX4)

 6. 롯데컨소시엄: 자율주행셔틀을 연계한 심리스(Seamless) 모빌리티서비스 시나리오, 버티포트 연계 통합운영 실증(기체: Journey)

 7. 대우건설,제주컨소시엄: 건축물 구조검토 등 버티포트 구축 기반 마련, 최적의 버티포트 입지 선정을 위한 복합개발 및 스마트 시티 모델 통합운영 실증(기체: ALIA 250)

 

 - 단일분야

플라나, 볼트라인, 켄코아, 로비고스, 파인브이티

 

약 2년 전에 중국회사인 이항의 자율주행항공기가 한강에서 시험운행을 했다는 기사를 접하면서 언제쯤 상용화가 가능할까라는 의문을 품고 있었는데, 실현될 날이 머지 않아 보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가 외국 선진국에 뒤쳐있지 않고 오히려  전 세계 최초로 5G 등 상용통신망 활용 등 독보적인 특징을 갖고 앞서나가는 것 같아 우리나라에서 상용화된 UAM을 가장 먼저 볼 수 있을 것처럼 보여 더욱 기대가 됩니다.

 

 

 

 

 

반응형

댓글